눈포아풀

by 갈매빛 / 崠駐 posted Apr 18,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oa palustris L.
과명 벼과(Gramineae)
속명 포아풀속(Poa)
이명 뜰꾸렘이풀 뜰포아풀 물포아풀 진퍼리꿰미풀
잎은 길이 10-20㎝ 나비 1-2㎜이며 엽설은 길이 3-5㎜로서 둔두이고 막질이다.
원추화서는 곧게 서고 성기게 퍼지며 길이 12-25㎝로서 난형이고 가지는 반윤생하며 옆으로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작은이삭은 난형으로서 길이 3-5㎜이며 2-3개의 꽃이 들어 있고 연한 녹색이다. 포영은 피침형 예두로서 3맥이 있으며 길이 2-2.5mm이고 능각부에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예두이며 윗부분에 갈색이 돌고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에 면모(綿毛)가 있으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털이 없으며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줄기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눕는다.
뿌리 근경은 가냘프고 짧다.
분포 북부지방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유사종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Syst. nat. (ed. 10) 2: 874. (1759)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