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4월에 피고 1-2개가 달리며 짧은 화경(花梗)이 있고 길이 4-5mm로서 백색이거나 붉은 빛이 돈다. 포는 얇은 막질이며 난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6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잎은 1-2개이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0-20cm 폭 3-8mm로서 단면이 초생달모양이며 9-13맥이 있고 윗면에 얕은 홈이 져 있다.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다. 꽃이 지면 파처럼 까만 씨가 결실한다.
높이 5-12cm이다.
인경(鱗梗)은 넓은 난형이며 백색이고 길이 6-10mm이며 외피가 두껍고 파상으로 꾸불꾸불해지는 횡세포로 되며 2-6개의 새끼(자구)를 형성한다.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달래는 독특한 맛과 특유의 향취를 지닌 향신채로 달래초나물에서 물씬한 봄내음을 즐기게 해주던 산나물이었으나 근래에는 재배되어 겨울내내 즐길 수 있어 계절감각을 느낄 수 없게 된 것이 못내 아쉽지만 예나 지금이나 식욕을 돋구어 주는데는 변함이 없다.
▶산달래(Allium grayi Regel) : 산지의 초임이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 깊은 산의 볕이 드는 숲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잎은 손바닥처럼 넓고 2-3장씩 달린다.
꽃은 8-9월에 피며 잎보다 긴 화경(花莖)은 높이 20-30㎝로서 끝에 3-3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5-9mm이고 총포는 막질로서 2개이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3.5mm 폭 2.5mm정도로서 난상 타원형이며 중앙부에 맥이 있고 적자색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길고 수술대 밑부분이 넓어져서 가장자리가 날개같이 되며 암술머리는 보다 더 길다.
잎은 부추같으며 3-4개가 달리고 길이 15-20cm 폭 2-3mm로서 화경보다 짧다.
삭과의 열매는 둥근형이고 종자는 흑색이다.
높이가 27cm가량된다.
인경(鱗莖)은 긴 난형이며 여러개가 한군데에서 총생하고 겉은 섬유로 덮여 있다.
다년초
"▶유사종인 산부추와 더불어 고산성 식물이므로 재배가 용이하지 않다. ▶한라산 일원에 자생하므로 """"한라부추""""라고 한다."
▶산부추(A. thunbergii)는 전국의 해발 1 000m이상 산지의 정상부에 풀밭이나 바위틈에서 자라고 높이 60cm미만으로 자라며 9월초에 개화한다.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60cm로서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화서는 지름 3-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다. 화피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5mm 폭 3mm로서 적자색이다. 포는 2개이고 둥근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꽃잎보다 길며 수술대 사이에 뾰족한 소돌기가 있고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잎은 2-3개가 근생하며 밑부분이 화경(花莖)을 둘러싸고 편평하지만 하반부 뒷면에 중륵이 돌출한다.
인경(鱗梗)은 난상 타원형이고 지름 1-1.5cm로서 외피겉에 섬유가 남지 않으며 2-3개의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꽃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서 5-7월에 피며 높이 40-70cm의 화경(花莖)이 나와 그 끝에 산형화서가 달린다. 포는 난형이며 2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다. 화피열편은 길이 5-6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수술 및 암술대는 화피보다 길며 꽃밥은 황록색이다.
잎은 넓고 2-3개씩 달리며 길이 20-30cm 폭 3-10cm로서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흰빛을 띤 녹색이며 윤채가 없다. 엽병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윗부분에 흑자색 점이 있다.
삭과는 3개의 심피로 된 도심장형이고 끝이 오그라들며 흑색의 종자가 달린다.
백합과의 숙근 다년초로 인경(鱗莖)은 길이 4-7cm이고 피침형이며 약간 굽고 외피는 그물같은 섬유로 덮여 있으며 갈색이 돈다.
다년생 초본
▶고산성 식물로서 자생지에 따라 내륙형 및 울릉도형으로 현저한 외관상의 차이를 보인다. 1. 내륙형- 잎이 좁고 잎의 섬유질이 연하여 어릴 때 식용으로 하기에 적합하다. 2. 울릉도형- 잎이 넓고 둥근형이며 섬유질이 내륙형에 비해 강하므로 뻣뻣한 느낌을 준다. ▶속명의 Allium은 고대 라틴명이며 켈트어로 `맵다` `냄새가 난다`의 의미를 지닌다.
화경(花莖)은 원통형이고 높이 50cm정도로서 중앙보다 밑부분에 부풀은 곳이 있으며 그 밑에 2-3개의 잎이 달린다. 9월경에 화경끝에서 큰 화서가 자라고 자루가 있는 많은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화피열편은 6개로서 도란상 피침형이고 백색 또는 담벽색이며 수평으로 퍼진다. 6개의 수술중 3개는 수술대 밑 양쪽에 잔돌기가 있다.
잎은 가늘고 길며 속이 빈 통같으나 아랫부분은 약간 모가 지고 녹색이며 파같지만 꽃이 필 때는 대개 말라버린다.
인경(鱗莖)은 지름이 10cm정도에 달하며 구형 또는 편구형(扁球形)이다. 겉에 있는 인편엽은 건막질로서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지만 안쪽의 것은 두껍고 층층이 겹쳐지며 매운 맛이 강하다.
꽃은 7-8월에 피며 적자색으로서 좁은 종형이고 화경(花莖)은 흔히 자줏빛이 돌며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넓은 난형 예두의 포가 있다. 소화경은 길이 8-15mm이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6-8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수술대 사이에 톱니가 없다. 꽃은 적자색이지만 순백의 품종도 재배되고 있다.
잎은 2-3개이고 반원통형으로서 안쪽이 편평하며 화경(花莖)보다 짧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땅속에 길쭉한 구근을 가지고 있다. 인경은 좁은 난형이며 외피는 회갈색이고 딱딱해져서 종선이 생기며 약간 갈라진다.
다년생.
▶재배품은 강건하다.
▶여러 해안에서 볼 수 있는 `큰산파`는 산파에 못지 않는 관상가치가 있다.
국가식물표준목록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3(2) : 153 (1875)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15~20mm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6mm이며 수술과 암술대는 화피보다 몹시 길고 화서중의 1부 또는 전부가 살눈으로 변한다. 화경은 곧추서며 높이 40~80cm이다.
잎은 2~9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20~30cm 나비 2~3mm이며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화경을 둘러싸고 밀랍분이 있으며 단면은 반원형으로 중공이고 표면에 홈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인경은 구형으로 지름 1.2~1.5cm이고 포지 끝에 새로운 인경이 생기며 백색 막질로 덮여 있다.
7-8월에 잎사이에서 길이 30-40㎝의 편평한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큰 산형화서가 피는데 곧게 선 가늘고 작은 화경에 촘촘히 모여 반구상을 이룬다. 총포는 막질이며 꽃은 백색이고 지름 6-7mm로서 화병이 길며 화피가 수평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6개이다. 수술도 6개이지만 화피보다 약간 짧고 꽃밥은 황색이다.
잎은 서며 선형이고 육질이며 길이 30cm내외로 녹색을 띤다.
과실은 삭과로서 도심장형이며 3갈래로 벌어져 6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구자라고 한다.
인경(鱗梗)은 밑부분에 근경이 달리고 좁은 난형이며 바깥 비늘은 검은 황색의 섬유로 둘러싸여 있다.
다년초.
전초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마늘(A. sativum for. pekinense) ▶산마늘(A. victorials var. platyphyl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