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 끝에서 길이 5㎝정도의 화경(花梗)이 자라서 15-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해질무렵 활짝 핀다. 6~7월경에 피고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연녹색이고 끝이 그리 뚜렷하지 않게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이고 길이 3cm로서 상반부는 홍색 하반부는 백색이며 암술이 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연분홍색의 꽃이 우산형으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의 우수2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낫같고 원줄기를 향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5㎜ 넓이 2.5-4㎜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인편은 7-12쌍이며 우편축의 양측에 약 15-30쌍의 소엽이 대생하고 있다. 우편측 양쪽의 소엽은 낮에는 나래처럼 펴져 있고 밤에는 서로 합쳐진다.
9~10월에 콩깍지 같은 긴 열매가 익으며 길이 15cm 정도의 편편한 꼬투리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줄기가 굽거나 사선으로 자라며 약간 드러눕는다. 큰 가지가 드문드문 나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다.
직근과 잔근이 있다.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역삼각형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자귀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송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 074㎡정도이다. ▶질감이 섬세하며 분홍색의 여름꽃이 드문 시기에 핀다. 콩깍지 모양의 열매는 겨울 내내 달려 있다.
▶왕자귀나무(A. coreana Nakai): 제주도나 목포 유달산에서 자라는 특산 식물이다. 자귀나무에 비해서 내한성이 약하고 소엽은 길이 20-45㎜ 너비 5-20㎜이다. 난대지역에서 자란다.
총상화서는 1-3개가 액생하며 길이 2-5cm로서 화경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꽃받침은 통형으로서 끝이 비스듬히 잘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긴 난형이며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둔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이 재저이거나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복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선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소탁엽은 길이 1mm정도이다.
열매는 협과로 도피침형이고 길이 4~5cm 나비 7-8mm로서 연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흑색의 둥근 종자가 3~5개 들어 있다.
꽃은 5월에 적색으로 피고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1~4cm이고 2~7개의 꽃이 나며 소화경은 1.5mm이다. 꽃받침은 끝이 비스듬히 잘린 것 같으며 열편은 침형이다. 화관은 나비모양으로 길이 18mm이고 수술은 2체이다.
잎은 호생하고 6~14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선단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하부의 것은 선형으로 길이 7.3cm 나비 2.5mm이고 상부의 것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 길이 7.5cm 나비 6m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소엽병은 거의 없으며 탁엽은 반 화살모양이다.
꽃차례는 수상화서이고 짧은 원주형이나 난헝에서 장타원형, 원주형까지 다양하며, 길이 2.4- 5.2(1.5-6)cm, 지릅 1-2.2 cm 이고, 다수의 꽃이 밀착하여 붙는다 꽃은 4-7월에 피고,진흥색, 길이 O.9- 1.2(- 1.5)cm 이고. 위를 향하여 달리며, 후에 개출되며, 기판은 다른 4개의 조각보다 길고,꽃잎의 끝은 가늘어져 좁은 삼각각형을 이루며, 꽃받침은 통부 길이가 1.5←5 mm이고 10맥이 있으며 털로 덥이고, 꽃받침열편은 좁은 삼각형으로 통부보다 길며 5개이고 길이가 모두 같으며, 꽃자루는 없다.
잎은 3출엽, 소엽은 도란형 내지 도심장형으로 다양하며 길이 1-3 cm 니비 1-2 cm이고, 잎의 끝은 원형 또는 요형이며, 잎의 밑부분은 넓은 쐐기꼴이고 거치는 중간 위쪽에만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5-70 mm 로 상부의 잎을 제외하고 길다.
꽃은 6월에 피며 7-40개의 남자색 접형화(蝶形花)로 이루어진 총산화서가 액생하며 화서는 화경과 더불어 길이 6-15cm이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꽃은 길이 10-12mm이고 꽃받침은 통형이며 끝에 꽃받침통보다 짧은 열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8-12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 8-15cm 넓이 2-6cm이고 끝에 여러갈래의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15-30mm 넓이 2-6mm로서 양끝이 좁고 측맥과 주맥과의 각도는 30˚정도이며 측맥은 가늘고 명확하지 않으며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가는 털이 있으며 회록색을 띤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고 피침형이다.
협과는 장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넓이 6-7mm로서 다소 부풀고 털이 없으며 흔히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꽃은 길이 15-18mm 엷은 황색으로 7~8월에 피고 총상화서로서 액출(腋出)한다.
화경이 길며 꽃이 다수이고 밀착하며 한쪽으로 몰려난다. 소화경은 길이 3mm 이다.
꽃받침은 길이 5mm 나비 4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mm정도이고 수술은 10개로서 양체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6-11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협과(莢果)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2~3cm이고 광택이 약간 있다.
전체에 약간의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를 황기라 한다.
다년생 초본.
▶자주황기(A. dahuricus)
국가식물표준목록
Fl. China. 10 (Fabaceae) (2010) ()
Mem. Acad. Imp. Sci. Saint Petersbourg, Ser 7 11 : 25 (1868)
두상화서는 길이 5-30mm로서 10-20개의 꽃이 부채살 처럼 달리고 꽃은 6-9월에 피며 짙은 홍색이고 엽액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5개의 피침형 조각으로 갈라지며 10맥이 있고 첫째 열편이 가장 길며 꽃잎이 꽃받침 보다 2배정도 길다. 기판은 타원형에 원두이고 익판은 장원형이며 용골판은 익판보다 짧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막질로 줄기를 감싼다.
협과는 선상 장원형으로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와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다소 네모지고 비스듬히 자라며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5~6월에 피고 홍자색을 띠나 건조하면 남색으로 되며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위쪽에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 끝은 얕게 갈라지고 화관은 나비모양이다.
잎은 호생하고 3~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끝은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3.5cm이고 양끝은 둔하며 끝은 약간 나오고 맥 위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탁엽은 타원상 화살모양이다.
꽃은 6월에 피며 좌우 대칭으로 달리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서 나오는 길이 20-30cm의 총상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기부에 털이 있으며 적색이고 뒤쪽 꽃잎에 적색 줄이 있으며 자방에 털이 없다. 화경의 길이 3-4㎝로서 털이 없다.
잎은 우수 2회우상복엽이며 호생하고 우상엽은 3~8쌍이다. 소엽은 5~10쌍이고 긴 타원형이며 원두 원저이고 길이 1~2cm로서 많은 잔점이 산재해 있으며 거치가 없다. 줄기와 더불어 예리하고 밑으로 꼬부라진 가시가 산생하며 탁엽이 일찍 떨어지고 엽액에 중생부아(重生副芽)가 있다.
꼬투리는 길이 7-9cm 폭이 2.7cm 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딱딱하며 9월에 익고 잘 벌어지지 않으며 흑갈색의 도란형 종자가 6~8개가 들어 있다. 종자의 길이 약 1㎝이다.
줄기와 가지는 길게 자라 반 덩굴성 모양으로 자란다.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없어지며 꼬부라진 예리한 가시가 전체에 산생한다.
가는 뿌리가 길게 뻗는다.
덩굴성 낙엽활엽관목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실거리나무라는 이름은 줄기와 가지와 잎에 산생하는 예리한 가시에 한 번 걸리면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화경(花莖)은 길이 4-9cm로서 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잎이 없고 끝에 1-4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12-15mm로서 보라색의 접형화이다.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7mm로서 겉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긴 열편은 길이 3mm정도이다. 기판의 현부는 난형이고 끝이 파지며 익판은 장원형으로 용골판보다 길다. 자방에 긴 백색 털이 있다.
잎은 모두 근출엽이며 9-17개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엽병이 길고 길이 3-8cm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0.5-1.5cm 폭 2-5mm로서 둔두 또는 첨두에 짧은 까끄라기같은 1개의 돌기가 있고 원저거나 설저이며 앞뒷면에 긴털이 밀생한다. 탁엽은 난형으로 긴복모가 있다.
협과(莢果)는 긴 난형이고 1실이며 길이 12mm정도로서 2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떨어낸다.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엽액에 1-2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기판 끝이 파진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끝이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선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5mm 나비 2-5mm로서 원두 또는 절두이고 밑부분의 것은 흔히 도란형이며 길이 6-10mm로서 요두이고 탁엽이 2개로 갈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