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일가화로서 7-9월에 피고 백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수꽃에 긴 화경이 있으며 암꽃에 짧은 화경(花莖)이 있고 화관은 저녁때 수평으로 퍼졌다가 아침에 시들며 지름 5-10c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이 다소 둥글며 수술은 3개이고 다소 붙어 있으며 자방은 하위로서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며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연모가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단성화이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황색이고 암꽃에 하위자방이 있다.
엽액에 덩굴손이 있음. 잎은 호생하며 엽병은 길고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원주상 타원형이고 황록색 황색 및 그 밖의 여러가지 색으로 익으며 향기가 나고 단맛이 있다.
원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고 굽은 털이 있다.
덩굴성 1년초
인도산의 야생종에서 개량된 것이라고 한다.
▶수박: 아프리카 원산.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잎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깃모양으로 깊에 갈라지고 갈래는 3-4쌍 녹백색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오이: 전체에 굵은 털이 있다. 잎은 호생 잎자루의 길이 8-15cm 얕게 갈라진 손바닥 모양 갈래는 끝이 뾰족하고 꺼칠꺼칠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웅화가 모두 엽액에 한개씩 달리지만 수꽃이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는 것도 있으며 화관은 백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짧으며 소화경이 있다. 수꽃은 3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1개의 짧은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덩굴손이 잎과 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심원형 편심형 또는 난형이고 끝이 대개 뾰족하지만 둔하게 그치며 밑은 심장저이고 길이 3-6cm 폭 4-8cm로서 가장자리에 크고 낮은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 듯한 것도 있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로서 길이 15-50mm의 과경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녹색이지만 익으면 회백색으로 되며 종자는 편평하고 회백색이며 많다.
잎 맞은편에서 자란 덩굴손으로 감아 올라간다.
덩굴성 1년생 초본이다.
난대에 널리 85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열매가 새알같이 생긴 박이라 하여 새박이라고 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약간 누른 빛이 도는 백색이고 양성화주(兩性花株)와 웅화주(雄花株)가 있으며 수꽃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양성화는 각 엽액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화관은 지름 5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수술은 3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원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2cm로서 표면은 흔히 털이 산생하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5-7개로 희미하게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넓고 낮은 톱니의 끝이 뾰족하다.
장과는 찌그러진 난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익으면 3개로 갈라지고 과경은 길이 1-10cm이며 종자는 1-3개가 들어 있고 길이 1cm정도로서 갈색이다.
꽃은 일가화 단성화로서 7-9월에 피고 백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수꽃에 긴 화경이 있으며 암꽃에 짧은 화경이 있고 화관은 저녁때 수평으로 퍼졌다가 아침에 시들며 지름 5-10c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이 다소 둥글며 수술은 3개이고 다소 붙어 있으며 자방은 하위로서 털이 있다.
덩굴손은 잎과 대생. 잎은 호생하고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며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연모(軟毛)가 있다.
장과는 지름 30cm이상이고 다소 편평한 구형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표피가 딱딱해지며 과육은 흰색이다. 표피가 굳은 장과를 반으로 쪼개서 삶은 다음 말렸다가 바가지로 사용한다.
청록색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뻗는다.
덩굴성 1년초
전체가 청록색 짧은 털이 있다.
▶표주박 (var.gourda Mak.): 열매가 작고 중앙부가 잘록한 술병같이 되며 장식품 및 기타 작은 바가지로 사용한다.
꽃은 단성으로서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액생하는 총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웅화서는 총상이다. 수꽃은 소화경이 가늘고 꽃받침과 화관은 각각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5-6mm이고 끝이 뾰족한 선형으로 서로 비슷하며 5개의 황록색 수술이 있다. 암꽃은 웅화서 기부에 1개씩 달리고 길이 10mm가량의 가는 소화경이 있으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덩굴손이 대생하며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지만 때로는 둔하게 그치는 것도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폭 2.5-7cm로서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으며 때로는 장상꼴로 3-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난형으로 길이 15mm가량이고 하반부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8-9월에 익어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 2개의 흑색종자를 떨어낸다. 종자는 흑색이고 난형으로 길이 10mm정도며 겉에 그물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는 길이가 2m에 달하고 짧은 연모(軟毛)가 산생하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덩굴성 1년초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 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바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6-9월에 꽃이 핀다. 꽃은 자웅동주(雌雄同株)이며 수꽃은 총상(總狀)을 이루며 길이 약 10㎝정도로 길게 된 꽃자루 끝에 달리며 지름 1㎝ 황백색 꽃밥은 융합되어 한 덩어리가 되엇으며 꽃자루에는 선모(線毛)가 있다. 암꽃은 짧은 꽃자루 끝에 두상(頭狀)을 이루며 지름 6㎜ 담녹색 1개의 암술 씨방하위(子房下位)이다.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길이 3-12㎝ 연모가 밀생한다. 잎새는 거의 원형 5-7천열(淺裂)이 되며 지름 8-12㎝ 기부는 깊은 심장저(心臟底)이고 열편은 끝이 예두(銳頭) 또는 점첨두(漸尖頭)이다.
열매는 자루가 없고 3-10개가 뭉쳐 나며 장타원형이며 가느다란 가시로 덮여 있다.
줄기는 4-8m에 이르며 3-4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며 기어오른다. 각(角)이 졌으며 연모(軟毛)가 밀생한다.
1년생 초본
유럽 호주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최근 우리 나라에 귀화된 식물로 철원 수원에서 채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