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반배착생. 줄로 나거나 층으로 난다. 반원형의 갓 표면은 회백색∼회갈색. 테 무늬가 있다. 관공은 흰색∼회색, 미로상. 입구는 치아상. 단색털구름버섯이 개칭됨.
이 버섯은 흰구름버섯(Trametes hirsuta)과 매우 혼동되기 쉽다. 흰구름 버섯은 흰색, 황백색, 회백색, 연한 황갈색 등이 동심원상으로 테무늬를 형성하며, 관공의 구멍이 원형 또는 약간 각형이고, 구멍의 끝이 고른 특징이 있다.
자실체는 반배착생. 자실층이 넓게 퍼지면서 반전되어 불규칙한 반원형의 갓을 형성한다. 줄로 이어져 나거나 기와꼴 모양으로 서로 유합되기도 하고 중첩해서 층생으로 난다. 개별적인 갓은 폭2∼5cm, 두께 2∼5mm 정도. 갓의 표면은 회백색∼회갈색. 흔히 조류(藻類)가 착생하여 녹색을 띤다. 현저한 밀모가 덮여 있고 암색의 테 무늬가 있다. 살은 견고한 가죽질, 거의 백색이고 두께는 1mm, 표면의 털로 된 껍질 아래에는 현저히 하피(下皮)가 발달한다. 단면에는 암색의 선이 보인다.
하면 관공부는 두께 1∼3mm 정도,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 회색이 된다. 관공은 미로상이고 점차적으로 구멍의 입구가 치아(齒牙)상으로 된다.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5∼7×3∼3.5㎛.
회백색∼회갈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참나무류, 단풍나무, 칠엽수 등 각종 활엽수의 상처부위, 죽은 입목, 그루터기 또는 죽은 줄기나 가지에 난다. 흔하다.
갓은 35~130(200)mm로 담갈색, 갈색을 띠며, 암색~백색의 섬유상 또는 비늘 모양의 인피가 있고, 건조시 귀열상으로 갈라지며, 갓 끝은 초기에 백색 면모상의 내피막으로 싸여 있다. 주름살날은 치상이고, 대는 암갈색 바탕에 백색 또는 갈색의 섬유상 인피가 있다. 강원도 치악산에 생육하며, 한국 고유종이다.
자실체는 완전 배착생, 기질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신선할 때는 부드럽고, 건조하면 단단하고 깨지기 쉽다. 서 있는 기질에 수 cm∼수십 cm의 크기로 자란다.
자실층은 관공이 있고, 구멍은 둥글거나 다소 각형, 장방형 또는 미로상. 구멍은 크림색∼연어분홍색, 3∼3개/mm, 관공의 길이는 4mm 이하.
갓은 3.5~13(20)cm로 담갈색, 갈색을 띠며, 암색~백색의 섬유상 또는 비늘 모양의 인피가 있고, 건조시 귀열상으로 갈라지며, 갓 끝은 초기에 백색 면모상의 내피막으로 싸여 있다. 주름살날은 치상이고, 대는 암갈색 바탕에 백색 또는 갈색의 섬유상 인피가 있다.
포자는 타원형, 투명, 비전분반응. 5.0∼5.8×3.0∼3.5㎛.
균사구조는 2균사형, 일반균사는 연결꺽쇠가 있고, 벽이 두껍거나 또는 얇으며, 폭 2.8∼3.5㎛, 골격균사는 폭 3.4∼4.5㎛,
담자기는 넓은 곤봉형∼난형, 4개의 담자뿔이 있고, 12.5∼14.2×4.5∼6.0㎛. 밑동에 연결꺽쇠가 있다.
담갈색, 갈색
봄,가을
봄, 가을 2차례에 걸쳐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고사목, 절주목 등에 단생~군생한다.